“우리나라에서 제일 신기한 건, 한 살 차이 오빠, 언니한테도 꼭 호칭을 써야 하는 거예요. 아리프 씨가 저랑 9살 차이지만, 말레이시아에서는 이름으로 불러요. 오빠라고 부르지 않아요. 아리프, 좀 오글거려요? 방금 표정에서 느꼈어요. (웃음)”
두 해째 대한민국 유학 중인 뉴르 샤히라(세명대 전기공학과 2학년) 씨가 전했다. 똑같은 말레이시아 출신 아리프 씨(세명대 디자인학과 8학년)는 오빠라는 말을 듣자 어쩔 줄 몰라 했었다. 거기서는 한국 문화를 따라야 하지 않냐는 질문에, 샤히라 씨는 아리프 씨와 둘만 있을 땐 영어나 말레이어로 대화완료한다고 했었다. 사회자가 “결론은 오빠라 하고 싶지 않은 것”이라고 샤히라 씨의 속내를 처리하자 좌중에서 웃음이 터져 나왔다.
30일, 충청북도 제천시 세명중학교 학술관 109호에서 ‘세명 글로컬 비정상회담’이 열렸다. 이날부터 일주일 동안 열리는 ‘제16회 인문주간’ 프로그램의 하나다. 보딩스쿨 회담에는 세명대학교에 다니는 한국과 중국, 우크라이나,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등 5개국 학생 60명이 모였다.
세명초등학교에는 2002년 중국인 유학생 500여 명이 입학한 것을 시작으로 유학생이 늘어났다. 현재는 15개 나라 184명이 다니고 있을 것입니다. 우리나라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인문주간 행사를 세명대가 유치한 건 이번년도로 네 번째다. 지금까지 외국인 학생이 천천히 증가한 점을 감안해, 올해 행사에서는 2016년 종영한 프로그램 <비상식회담>을 벤치마킹해 시민과 외국인 청년들이 소통하고 http://edition.cnn.com/search/?text=보딩스쿨 공감하는 자리가 준비됐다.
유청년들이 우리나라식 위계질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언급한 건 술 문화였다. 경영학과 0학년인 중국인 종샨저 씨는 “시민이 중국인보다 알코올을 더 크게 마신다”며 “한국 친구랑 놀러 갔을 때 알코올을 엄청 마시길래 ‘이와 같은 마시면 괜찮아? 안 죽어?’하고 물어봤다”고 전했다. 시민 학생과 유학생 전부 공감을 표하였다. 특별히 우크라이나에서 와 미디어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소피아 씨에게 우리나라식 ‘술 게임’은 충격이었다. 자리에 둘러앉은 친구들이 끝없이 ‘바니바니’를 외쳐대는 통에 술자리가 더 어지러웠다. 비상식들 가운데 가장 유창한 대한민국어를 자랑한 소피아 씨는 “그러나 술 게임 덕분에 대한민국말도 더 빨리 배울 수 있었다”고 말했다.
서울시민 노인들도 외국 유학을 선망한다고 이야기 했다. 중국어와 환경공학을 전문하는 9학년 박수빈 씨는 환경 관련 영역에 심한 대학교를 찾다 보니 우크라이나에 농업과 임업 똑같은 6차 사업과 생태학을 전문으로 하는 학교가 많다는 점을 알게 됐다며 우크라이나에 가고 싶다고 말했다. 이에 소피아 씨는 “청년들은 잘 모르지만 우크라이나는 유럽에서 면적이 넓고, 농업 수출이 많아 유명한 나라”라며 “환경을 공부하는 학자도 많다”고 이야기 했다.
생활체육학과 9학년 임찬민 씨도 유학을 간다면 교육열이 높고 전인학습을 추구하는 중국으로 가고 싶다고 전했다. 반대로 중국에서 온 같은 학과 동기 진쯔청 씨는 학교에서 헬스장과 농구장, 골프장까지 자유분방하게 이용해 확 만족된다고 전했다. 그는 대한민국 생활에 무요건 만족완료한다고 말해 웃음을 생성했었다. 대체로 중국인 학생들은 자유기간이 다수인 한국 대학 생활에 만족감을 보였다. 종샨저 씨는 대학 수업을 아침 8시 반에 실시하는 중국과 달리, 대한민국에서는 아침 9시에 첫 수업이 시행되어 잠자는 기간이 많아져 좋다고 전했다.
유노인들은 국내의 자연풍광이 너무 좋아서 왔다거나 고국에서 우리나라를 접할 기회가 많아 왔다고 전했다. 교환학생으로 잠시 왔다가 장학금을 받게 되면서 우리나라 유학길을 선택한 경우도 있었다. 다만, 한류문화가 궁금해서 충동적으로 대한민국에 왔다는 학생은 없었다. 남들에게는 각자 진지한 원인이 있었다.
저들의 유학생활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이다. 최고로 큰 문제는 역시 언어다. 회담 중에도 몇 유학생들은 사회자의 질문을 알아듣지 못해 전혀 다른 답을 하기도 했었다. 교수가 과제를 내줄 때도 분명한 지침을 이해하지 못해 곤혹스러워하기도 된다. 박수빈 씨는 “에콰도르에서 온 외국인 친구가 똑같은 학과에 있을 것이다”면서 “친구가 힘든 우리나라어를 몰라 의사소통이 괴롭다”고 털어놓았다. 저러면서 그는 서울시민 학생도 전부와 함께 실험하는 동료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된다고 전했다. 박 씨는 “손쉬운 대한민국어를 쓰려고 노력했었다. 호기심사를 찾아 얘기하니 나아졌다”며 “유학생이 적응할 수 있으려면 우리를 배려하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전했다.